시집선택
14권의 시집에 총 1,720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 자유 그리고 자유로움  


  "* 자유 그리고 자유로움"
네번째 가상詩集입니다.

2012년 봄부터 씌여진 詩들입니다.
實驗詩적인 성격의 習作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오늘까지 계속 이어져오는 역사의 章입니다.

처음 詩人의 길에 入門한 이래로
이제껏 40년 이상을 지어온 詩이지만 아직도
정확한 詩의 정의를 내리지 못한 채,

판도라의 상자를 가슴에 품어안고
바람처럼 구름처럼 풍운아로 떠돌며
詩의 본질을 찾아 헤매고 있는
詩人 林森의 애환이 드러나 있습니다.

林森의 고행은 그래서
지금도 이어져가고 있습니다.
그의 목숨이 다하는 그 날까지
쭈욱 ~~

詩人의 멍에를 天刑으로 걸머지고 있는 한....
[ ]

위로 이동

* 사람들의 이야기 *



시작노트

" 사람들의 이야기 " 詩作 note

가끔은 삶의 원초적인 문제에 대해서 고민을 할 때가 있다. 어차피 답도 없는 숙제를 끌어안고, 딴에는 심도있는 고민을 하며 끙끙거릴 때가 있다. 그렇게 몇 날 며칠을 고민을 한 끝에 아무런 답도 찾지 못하고는 이내 다시 모든 걸 잊고 일상을 산다. 때로는 이 우스꽝스러운 짓거리로 한 달을 허비했던 적도 있었다. ‘도대체 사람이 산다는 건 무엇일까? 사람은 왜 사는 걸까?’ 대관절 이런 궁금증이 어디에 쓸 모가 있다고 애초에 집착을 하고 있는 건지, 원!

그리고 어쩌다가 이런 궁금증에 답을 찾았다고 치자. 그 찾아낸 답이 애저녁에 정의이며 진실이라고 어찌 인정할 수 있는 건가? 실상 죽을 때까지 고민을 해봤자 적절한 대답은 아예 있을 수가 없는 문제인 걸, 그냥 살면 되지 왜 본질이니 근원이니 하면서 파헤치려고 하는 건가 말이다. 이렇듯 필자는 젊어서나 늙어서나 이런 헛짓에 이미 이골이 나 있는 푼수다. 마치 다람쥐가 쳇바퀴를 돌리듯 잊을 만 하면 다시 새록새록 고민이 생겨난다. ‘나는 도대체 왜 살고 있는 건가?’ 그리고 근래 이 병이 또 도졌다. 그래서인지 지금 몇 날째 도통 잠을 못 이루고 목하 고민 중이다. 얼른 답 비슷한 거라도 발견하고 이 고민에서 벗어나냐 할텐데, 이젠 그 고민까지 겹쳐져서 이른바 고민 삼매경이다.

하루를 열심히 살면, 그것이 모여서 삶의 페이지를 꾸며가는 거라는 건 어차피 이미 안다. 나이가 이 정도 먹었으면 지금은 살아가는 것과 죽어가는 것의 절반 쯤에 걸쳐서, 하루를 유의미하게 보내는 것만이 도리라는 것도 익히 터득한 몸이다. ‘인생은 나그네 길’이고 고해이며 풍파라는, 판에 박은 줄거리도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왔다. ‘빈 손으로 왔다가 빈 손으로 가는 게 인생’이라는 귀한 말도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짜 왜 사는지는 도무지 모르겠다. 지금 이 시간에도 그냥 그저 이렇게 숨을 쉬고는 있지만...

마치 허무주의 철학자나 염세적인 관념에 물들어 있는 구제 불능의 문제아처럼 느껴져서, 필자 스스로도 한심스럽게 생각하기는 한다. 그러나 어차피 쉽사리 그 답을 찾지 못하는 한 아마도 삶이 끝나는 날까지 왜 사느냐 하는 문제의 궁금증은 지속될 것 같다. 그래서 그냥 궁금한 채로 놓아둘 요량이다. 이따금 고민의 심도가 깊어지면 다시 머리 싸매고 한동안 끙끙거리면 되는 노릇이니, 머리도 아프다 아프다 지치면 저절로 낫겠지, 이젠 고민을 좀 덜어야겠다는 배짱도 더러는 생겨난다.

해탈인지 달관인지는 잘 구분이 안 가지만 아무튼 무언가를 깨달은 것 같기는 한데, 정작 명료하게 답을 제시하지는 못하겠다. 그럼에도 필자는 이런 애매모호한 가치관으로 남들에게 제법 그럴싸한 제언과 충언을 앞세워 멘토 역할을 하고는 한다. 한 편으로는 두루뭉술한 진실의 눈으로 보이는 삐딱한 세상을 나름대로 재단하고 쌓아올려 시를 짓곤 한다. 그러니 그렇게 빚은 시를 남들이 어찌 예쁘게 봐줄 수 있을까? 그래서 아마도 필자에게는 독자가 없는가 보다.

그러니 어쩌랴? 개인적인 생각의 추가 어디 쯤에 머물던 세상은 아랑곳 하지 않고 예나 지금이나, 열려질 내일까지도 제 멋 대로 흘러가고 있는 걸. 마음이 넓어지는 것만큼 생각이 자유로워지고, 생각이 자유로워지는 만큼 삶이 아름다워진다던가? 눈이 어두워질수록 마음은 밝아 진다. 발이 느려질수록 생각은 빨라지고, 몸이 약해질수록 사랑은 강해지는 법이다.

오래 산다는 것은 오래 사랑한다는 것이며 멀리 간다는 것은 많이 본다는 것이다. 우리의 사랑은 덮어주는 것이다. 강조하자면 우리의 사랑은 찾아내어 밝히는 것이 아니라 덮어주고, 그 안에서 함께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다. 아무리 세상이 춥다 해도 사랑의 모닥불 하나 피우고 둘러 앉으면 된다. 아무리 세상이 힘들어도 희망의 모닥불 하나 피워 놓고 마주 앉으면 된다.
아무리 세상이 거칠어도 지혜의 모닥불 하나 피워 놓고 모여 앉으면 된다. 그러면 저절로 세상이 따뜻해지고 삶이 즐거워지게 될 거다.

삶의 가장 큰 적은 내 안에 있다. 남을 원망하는 마음, 두려워하는 마음, 싫어하는 마음의 안 쪽에는 ‘나는 결코 이런 대접을 받을 사람이 아니다.’라는 나르시시즘이 도사리고 있다. 그렇기에 바로 적은 밖에 있지 않고 내 안에 있는 것이다. 나의 감정과 정서를 다스리지 못하는 내 안의 나, 참을성과 너그러움과 이해하는 마음이 바탕이 되어야 함에도 내가 이해받고 대접받으려는 내 안의 적이 나를 자유케 하지 않는 게 문제다.

너그러움과 참을성을 길러 바른 마음가짐으로 내 안의 적을 무너뜨리고 자존감을 되찾아 보려는 노력이 절실한 이유다. 그렇게 작은 일에서부터 나 자신을 먼저 다스리고, 다음으로 가까운 가족과 이웃, 그리고 친지들, 나아가서 모든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을 끼치는 삶의 자세를 하나씩 세워나가는 마음가짐이 진짜 필요한 덕목이다. 5월 한달은 ‘가정의 달’이라는 제목으로 제법 많은 행사와 기념일이 이어졌다. 그러고보니 연휴도 많아서 한 달이 금세 지나간 듯 하다. 이번 주말에도 ‘부처님 오신 날’을 끼고 연휴가 이어질 거다.

어느 20대 아들이 어머니와 말다툼을 하게 되었는데, 언성이 커지며 소리를 질러댔다. 어머니는 눈물을 흘리며 무척이나 슬퍼했다. 그런 일이 있은 후 며칠 뒤 아들은 아버지와 둘이서 어딘가를 갈 일이 있어 함께 차를 타고 가는 중이었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나직한 음성으로 이렇게 묻는 것이었다. “넌 나중에 네 애인이 있는데, 어떤 남자가 네 애인을 울리면 어떻게 하겠니?” “그런 놈을 그냥 둬요? 팍~~ 뒤지게 패줘야지요!” 그러자 아버지 말이, “네 엄마 울리지 마라. 내가 가장 사랑하는 여인이거든. 팍 패버리기 전에...”

아들은 아무런 대답도 할 수가 없었다. 그때 그의 아버지가 어머니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그리고 가족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더 알게 되었다. 가정의 달, 크고 좋은 선물이나 그럴듯한 외식도 좋지만 평소에 공경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대해드리는 게 가장 아름다운 효도라는 걸 잊지 말아야 한다. 허기사 이런 상투적인 말을 모르는 사람이 어디 있을까? 다만 알면서도 그리 행하지 않는 게 현실적으로 아무렇지도 않게 여겨지는 것 같아서 씁쓸하다.

요즘을 정보의 홍수시대라고 한다. 참으로 지나치게 넘치는 정보시대다. 스마트폰이 일반화되고 시골 구석까지 골고루 보급되면서 편한 것도 있지만, 우리 삶의 무대에 부정적인 것도 많이 있다. 물질 문명이 발전되니, 단순한 숫자계산도 암산보다는 전자계산기를 더 의지하고, 밥을 지을 때 옛날 어머니들이 식구들에게 좋은 밥을 주고자 장작불이나 연탄불 위에 밥솥을 올려 놓고 불조절을 하면서 시간을 재며 살았던 시대가, 오히려 전기밥솥의 밥보다 정성이란 요소가 있었기에 더 좋았다고 믿는다.

편한 삶, 쉬운 성공을 바라는 시대에 살고 있다. 서점이나 인터넷 검색창에도 쉽게 돈버는 방법, 쉽게 성공하는 방법, 요령만으로 세상을 사는 방법 등에 대한 이야기들이 넘쳐 난다. 얼마 남지 않은 ‘가정의 달’에 생각한다. 가정도 하나의 엄연한 조직이다. 가정의 운영은 배려와 희생, 그리고 불편한 것도 이해하면서 지탱이 되는 것이다. 엄연히 정해진 직함도 있고 말이다.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 사위, 며느리, 손주... 각자의 역할과 지킬 도리들이 있다.

또한 가정은 인간사회의 모든 것을 가르치며 배우는 가장 중요한 종합 훈련장이라고도 한다. 가정에서 각자의 기본적 역할, 상대에 대한 이해와 크고 작은 희생을 배워, 밖으로 나가서 사회 생활에 자연스럽게 적용해 나간다면 아주 좋을 것이다. 그 가정의 달이 지금이다. 이제 얼마 있으면 끝나겠지만 남은 날들이라도, 각자의 위치에서 멋진 가정을 만들어가는 우리 모두의 지혜와 노력이 흘러넘치는 날들이 되기를 기원한다. 아울러 아마도 그것이 우리가 이 세상을 살아가는 이유라는 답이 아닐까 생각한다.


" 사람들의 이야기 " 詩作 note 닫기
 | 배경이미지 새로적용  | |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실연을 하고
살아가면서 고통을 받고 그리고
살아가면서 맛있는 것을 먹는다

사람들은, 그렇게
살아간다

실연을 하러
고통을 받으러 그리고
맛있는 것을 먹으러

가면서
그게 살아가는 이야기라 말들 한다

사람들은, 그리고
맛있는 것을 먹을 때
그 감정을 잊는다
그 설렘을 놔준다 차라리

다행이다, 그게
그저
살아가는 이야기인 거라서

 | 배경이미지 새로적용  | | 글자 크게 글자 작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