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선택
14권의 시집에 총 1,720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1집. 그대와 같이 부르는 이 사랑의 노래 있는 한  


  "1집. 그대와 같이 부르는 이 사랑의 노래 있는 한"
동인지 형식이 아니고 단독 출판한 詩集으로는
林森의 첫번째 공식詩集으로서
92년3월20일 '도서출판 명보'에서 인쇄하였습니다.

처음 詩를 쓰기 시작할 때부터의 作品을 총 망라하여
그 중에서 61편만을 선정한 詩集이며
序詩의 제목은 '정',
내용은 총 5개의 章으로 분류하여 엮었는데 순서대로
'序曲의 章' '發端의 章' '矛盾의 章' '追求의 章' '反省의 章'입니다.

고인이 되신 작사가 '박건호님'의 권두시가 처음에 있고
'박일송님, 이외수님, 정화석님, 최성현님, 박재우님'의 추천사가
'사색의 창을 열면서'라는 프롤로그에 실려있습니다.
그리고 에필로그는 '林森, 그는 누구인가?'라는 제목으로
'가호성님'이 적어주셨습니다.

林森의 초기 詩風을 짐작할 수 있는 詩集입니다.
[ 도서출판 명보 ]

위로 이동

* 비둘기와 함께 하는 하루 *



시작노트

" 비둘기와 함께 하는 하루 " 詩作 note

‘역사’ 라는 단어는 ‘인류 사회의 변천과 흥망의 과정, 또는 그 기록’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며 ‘어떠한 사물이나 사실이 존재해 온 연혁’ 또는 ‘자연 현상이 변하여 온 자취’를 일컫는 말이다. 한 마디로 과거로부터 이어져오는 어떤 상황이라고 보면 된다. 크게는 국가나 시대적인 과업을 통칭하기도 하지만 개인적인 발자취를 돌이켜보는 것도 역사적인 일이 될 수는 있다. 시작부터 제법 거창하게 문을 여는 이유는, 모처럼 필자의 시인으로서의 자취를 역사적으로 한 번 돌아보는 기회를 갖고자 함이다.

오늘 고른 시는 참 오래 전에 지은 시이다. 1987년에 쓴 시이니 물경 35년이나 지난 셈이다. 그리고 ‘林森 제 1시집’인 ‘그대와 같이 부르는 이 사랑의 노래 있는 한’에 수록되어 있는 시이다. 이 시집은 동인지 형식이 아닌, 단독 출판한 시집으로는 필자의 첫 번 째 공식 시집으로서 1992년 3월 20일 ‘도서출판 명보’에서 인쇄하였다. 처음 시를 쓰기 시작할 때부터의 작품을 총 망라하여 그 중에서 61편만을 선정한 시집으로, 서시의 제목은 ‘정’이었다,

내용은 총 5개의 장으로 분류하여 엮었는데 순서대로 ‘序曲의 章’ ‘發端의 章’ ‘矛盾의 章’ ‘追求의 章’ ‘反省의 章’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작사가 ‘고 박건호님’의 권두시가 처음에 있고, ‘고 박일송 시인님, 고 이외수 소설가님, 정화석 화가님, 최성현 작가님, 박재우님’의 추천사가 ‘사색의 창을 열면서’ 라는 프롤로그에 차례로 실려있다. 그리고 에필로그는 ‘林森, 그는 누구인가?’ 라는 제목으로 ‘가호성님’이 적어주었다. 필자의 초기 시풍을 짐작할 수 있는 시집으로 나름 가치가 있으며, 그 뒤 아홉권의 시집이 차례로 출간되었지만, 역사적으로 가장 원조인 이 시집이 개인적으로는 퍽이나 애착이 가는 시집이다.

마지막으로 시집을 출간한 지는 이미 20년이 훨씬 지나버렸지만, 그 뒤로도 천명처럼 여기면서 이제껏 뜨문뜨문 꾸준히 시를 짓고 있으며, 현재는 시대의 분위기에 맞게 영상과 SNS 등을 이용하여 시를 선보이거나 몇 군데의 언론 매체를 통하여 칼럼과 오피니언 활동을 이어가면서 독자들과의 만남을 지속하고 있는 바, 아직도 필자의 시인으로서의 역사라는 게 비록 화려하지는 않지만, 근근히 그 맥을 이어가고 있기는 한다.

젊은 날의 삶에 비둘기가 깃들어 소망과 행복의 둥지를 마련하는 데에 도움을 주었던 기억이 지금도 이렇듯 생생한 걸 보면, 사람의 기억이라는 것이 수많은 세월이 흘러도 아주 스러져가는 것만은 아닌 듯 하다. 그 약속의 비둘기가 길게 함께 하지 못하고, 어느 날인가 곁에서 떠나버렸기에 아마도 그 뒤로 이어진 삶의 여정이 이렇게나 고되고 험난하였으리라. 되돌아보니 아쉽고 한스러운 옛 추억이 오늘의 심사를 더욱 궁색하게 만들어 헛웃음 짓게 한다.

그래도 분명한 것은 그런 필자의 오래 된 역사가 깔려 있었기에 오늘의 필자가 숨 쉬고 있으리라는 귀결의 끈이 조심스레 만져지는 이유로 하여, 다시금 포기하지 않고 각오를 다지며 남은 내일을 기꺼이 열어보려는 참이다. 어차피 분명한 것은, 내가 먼저 좋은 생각을 가져야 좋은 사람을 만나고, 내가 멋진 사람이라야 멋진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고, 내가 먼저 따뜻한 마음을 품어야 따뜻한 사람을 만나게 된다는 점이다.

비록 우연히 맺어진 인연이나마 소중한 자산으로 생각하고, 오래오래 관계를 이어가길 바라며 신중하고 차분한 마음가짐으로 대하면서 관계를 이어갈 일이다. 이 세상은 혼자 살아가는 것이 아니고 인연과 연분 속에서 더불어 사는 것이거늘, 잠시의 소홀로 연이 끊긴다면 후일 아쉬위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인연의 끈은 자르는 게 아니라 푸는 것이다. 역시 삶의 고리도 끊는 게 아니고 푸는 것이다.

어느 날 젊은 며느리에게 포장이 몹시 꼼꼼하게 된 소포가 왔다. 가위를 찾아 포장된 끈을 자르려고 할 때 시어머님이 말리셨다. “얘야, 끈은 자르는 게 아니라 푸는 거란다.” 며느리는 포장끈의 매듭을 푸느라 한동안 끙끙거리며, 가위로 자르면 편할 걸 별 걸 다 나무라신다고 속으로 구시렁거리면서도 결국 매듭을 풀었다. 다 풀고나자 어머님의 말씀, “잘라 버렸으면 쓰레기가 됐을텐데, 예쁜 끈이니 나중에 다시 써먹을 수 있겠구나.” 라고 천진하게 웃으시더니 덧붙이셨다. “인연도 잘라내기 보다 푸는 습관을 들여야 한단다.” 혹시나 얽히고 설킨 삶의 매듭들이 있다면 하나 하나 풀어가도록 하자.

대인 관계에서의 매듭을 푸는 가장 효율적인 방편은 바로 사랑이다. 사랑하는 마음을 품고 있다면 어떤 매듭도 풀 수 있는 열쇠를 갖고 있는 셈이다. 사랑은 건강하고 부유하고 행복한 인생의 비결이다. 행복한 사람은 더 건강하고 부유해질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이 하는 일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더 행복해질 수 있다. 자신의 사고와 행동이 사랑 속에 뿌리를 내린다면 건강과 부와 행복을 맞이할 가능성이 훨씬 커질 것이다.

사랑하는 일을 하고, 사랑하는 것에 투자하며, 사랑을 통해 건강해지라는 얘기를 하면 그저 쉽게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사랑은 쉽지 않으며, 어떤 때는 고통스럽기까지 하다. 사람들이 사랑을 포기하는 이유는 그것이 고통스럽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시는 사랑하지 않겠다.’ 라고 말하기도 하는 것이다. 사랑이 삶을 더 쉽게 만들어주지는 않지만 삶에 의미를 주는 것만은 틀림없다. 사랑은 고통스러운 것이지만 한 편으론 고통을 인내하게 해주는 희망이 되기도 한다.

예전 젊었을 적에 헬스클럽에서 심각한 갈등에 빠지거나 그만두고 싶은 생각이 들 때마다 얼른 사랑하는 사람을 떠올리며 운동을 계속하곤 했었다. 두 시간의 고통을 통해 가장 사랑하는 사람과 더 길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다면 그 고통을 기꺼이 감내할 것이라고 각오를 다지며 운동에 몰두했던 시절이 떠오른다. 그것은 일이나 투자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사랑이 없었으면 일이나 투자에 따르는 고통과 좌절을 참아내지 못했을 것이다. 사랑이 쉽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한 번도 사랑해보지 않은 사람임에 틀림없다.

“누군가를 진지하게 사랑하고 필요로 하게 되었는데, 그러다 어느 날 갑자기 아무런 전조도 없이 그 상대가 어딘가로 사라져버리고 혼자 덩그러니 남는 것이 두려웠는지도 몰라. 그러니까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늘 상대하고 적당한 거리를 두려고 했어. 또는 적당히 거리를 둘 수 있는 상대를 골랐어. 상처를 입지 않아도 되게끔. 그런 거지?” ‘무라카미 하루키’의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 중에 나오는 내용이다.

허기사 적당한 거리가 안전하긴 하다. 상처도 후유증도 적고 상실감도 덜 느낀다. 그러나 적당한 거리 속에 깊은 사랑, 깊은 믿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건 거리가 없어야 가능하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포옹, 물론 거리가 없다. 평생 가는 믿음, 역시 틈새가 없다. 서로의 거리를 줄여가는 노력, 하나로 일치시키는 노력, 그것이 바로 사랑인 것이다.

어느 날 전철 안에서 있었던 일이다. 알다시피 전철 안의 넓은 자리는 일곱 사람 정도가 앉도록 되어 있지만 조금 좁히면 여덟 사람도 앉을 수는 있다. 그런데 어떤 부인이 일곱 명이 앉아 있는 자리에 오더니, 조금씩 당겨 같이 앉자고 하면서 끼어 앉았다. 그 부인은 언뜻 보기에 홀몸은 아닌 것 같았다. 먼저 앉아 있던 일곱 사람의 얼굴에 순간 불편한 기색이 스쳐 갔다. 그런데 잠시 후, 가장 나이가 지긋해 보이는 노신사가 슬그머니 자리에서 일어섰다. 그러자 자리를 좁혀 같이 앉아 가자던 부인이 황급히 일어났다.

그리고는 계속 재미있는 일이 벌어졌다. 중년의 아주머니가 슬그머니 일어나는가 싶더니, 이어서 조금 떨어진 곳에 앉아 있던 청년이 또 일어나는 것이었다. 그러다 보니 긴 좌석이 한 순간 빈 자리가 되어버렸다. 일어선 사람들은 한동안 서로 앉으라느니 괜찮다느니 하면서 가벼운 실랑이를 벌였다. 그러다가 그들은 모두 웃으면서 서로 조금씩 자리를 좁혀가며 앉았다. 참으로 아름다운 광경이었다. 서로 사랑하는 우리 주변의 소소한 미담들이 우리를 미소짓게 한다.

“괜찮다, 괜찮다, 다 괜찮다.” 이 말이 맘에 든다. 어차피 산다는 건 고해라고 하는데 걱정 없는 삶이 어디 있으며 어려움 없는 삶이 어디 있겠는가? 그러나 어쩌면 모든 것은 지나친 걱정이다. 우리는 처음부터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사실은 다 잃어봐야 본전인 셈이다. 모든 걱정과 괴로움은 좀 더 가지지 못하면 어떻게 하나, 내가 가진 것을 잃어버리면 어떻게 하나 하고 생각하는 이기심에서 비롯된다. ‘고도원’의 ‘나무는 자신을 위해 그늘을 만들지 않는다’ 중에 실려있는 글이다.

안달복달 살아가는 세상살이에서 때로는 ‘괜찮다’ 라는 마음으로 자신을 보듬어 줄 때가 필요하다. 우리는 스스로를 너무 몰아붙이면서 살아갈 때가 많다. 모든 것을 수확하고 갈무리 짓는 가을의 종반에서 가을 바람에 슬픔을 날려보내고, 사랑이 가득한 따스한 차 한 잔을 자신에게 대접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저물어가는 이 가을이 휠씬 풍성해질 것이다. “괜찮다, 괜찮다, 다 괜찮다.” 하면서 가을 사랑에 정점을 찍어보자.


" 비둘기와 함께 하는 하루 " 詩作 note 닫기
 | 배경이미지 새로적용  | |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언제라도 그대 잠 속에 녹아지어
평안 드릴 수 있다면

백번이나 천만이라도 기꺼이 스러져 가리

그대 깊은 속 까지
살포시 녹아 들으리

머언 먼 내일의 이야기들을
주워 모아
떨림으로 만든 목걸이를 걸고
한번쯤은 쳐다볼 거울 앞에

거기 대신 서 있으리

그대 눈 속에 스러질 수 있음이면

새벽이 오는 흔적을 들으며
밤 새 잠 못 이룬 목마름으로
그대의 뺨에
얼굴 부빌 때 쯤이면

커다란 울음을 짐짓 울더라도
그건,
우리의 이야기일 뿐
영원한 사랑의 휘파람 소리일 뿐

앙상한 겨울 가지의
섬찌ㅅ한 그림자 마저도
따스한 체온으로
가지런히 추스려
가슴 터지도록 보듬어 안고
그대의 평안 속에서라면
비로서 잠 들 수 있으리니

그대와 같이 부르는
이 사랑의 노래 있는 한

평안으로 살아갈 수 있나니
마냥 웃어질 수 있을 밖에

그대 비둘기 되어
내 가슴 한 가운데에서
하루를 온전히 살아주는 한....

1987223084835....

 | 배경이미지 새로적용  | | 글자 크게 글자 작게